본문 바로가기

MVP 지식 나눔/Dev

[최정우 MVP] SharePoint App 환경구성에 관한 추가 팁.

그 동안 제가 가진 테스트 환경에서 쉐어포인트 앱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작업이 잘 안되었었는데, 그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쉐어포인트 서버의 앱환경을 구성하는 것은 이 테크넷 아티클을 따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링크 : SharePoint용 앱의 환경 구성 (http://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fp161236.aspx)

 

사실 하우투 문서를 만들 필요도 거의 없을 정도로 자세히 잘 나와 있습니다.

다만 제가 고생했던 문제점에 대한 부분만 추가적으로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고정아이피를 써야 한다.

쉐어포인트 서버의 앱도메인을 설정하다 보면 아래와 같이 DNS 에서 별도의 도메인을 등록하고 와일드카드 별칭을 생성해야 합니다.

[별도로 추가된 앱 도메인에 와일드 카드 별칭을 추가한다]

그리고 그 와일드 카드 별칭이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ping 테스트를 통해 검증을 해봐야 합니다.

[와일드 카드 별칭에 대한 ping 테스트]

그런데 제 테스트 환경에서는 이러한 ping 테스트가 잘 안되었었습니다. 이름풀이를 못한다고 핑이 안됩니다.

문제의 원인은 DHCP 아이피를 사용한 것이었습니다. 보통 가상머신에서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해 NAT 나 DHCP가 포함된 인터넷 공유 기능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고정아이피를 지정해 주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환경에서는 와일드 카드는 물론 별도로 추가한 앱도메인 자체의 이름풀이가 수행이 안됩니다.

[문제되던 아이피 설정]

그래서 혹시나 해서 고정아이피를 설정해 주니 모든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앱스토어는 시스템계정은 동작하지 않는다.

쉐어포인트 시스템계정으로는 앱스토어의 앱을 다운받아 설치 할 수 없습니다.

아래와 같이 에러가 뜹니다.

[시스템 계정으로 쉐어포인트 앱을 다운받으려면 이런 에러가 난다]

 

그래서 별도의 계정에게 사이트 컬렉션 소유자 권한을 주어서 앱스토어에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다운받을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계정으로 앱스토어에 들어가면 다운 받을 수 있다]

 

테스트 환경의 DNS 설정도 신경써야 한다.

저는 쉐어포인트 서버를 가상머신(게스트)에 설치해 두고 호스트 윈도우의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쉐어포인트에 접속합니다. 웹서버와 사용자 환경을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이지요. 물론 쉐어포인트 서버의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hosts 파일에 사이트의 URL 을 등록해 놓고 이용합니다. 그런데 호스트 파일은 와일드카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쉐어포인트 앱을 설치하였다고 해도, 실제로 앱을 실행하려고 하면 404 에러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DNS 를 쉐어포인트가 사용하는 AD 서버로 돌려 놓던지, DNS 프록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원격서버 환경의 쉐어포인트 앱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